2020년 2월 16일 일요일

A7S3에 대해 말을 아끼는 소니... 와신상담?

a7s2 이미지 검색결과

  2020년이 시작됨과 동시에 작년 한해동안 조용했던 카메라시장이 다시 떠들석해졌다. 캐논의 연이은 혁신과 박차를 가하는 니콘, 조용히 자리를 굳혀가는 파나소닉. 모두 초점은 '영상'에 있다. 캐논에서는 EOS R의 고화소 후속바디가 발표되었고, 니콘은 늦게나마 미러리스와 플래그쉽 바디에 다시한번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위 영상은 FX9에 대한 소니 관계자의 인터뷰를 담았는데, 뜬금없더라도 A7S2의 후속 기종에 대한 질문에는 언급을 회피하고 있다. '소니알파루머스'에서는 그의 답변 중 미래에 훌륭한 카메라가 될것이라는 것에 초점을 두었는데, 필자는 조금 다른 느낌을 받았다. 'A7S2의 후속기종이 출시는 되어야 하지만 이전의 기대에는 못미칠것'이라는 느낌이다. 아마 내부적으로 큰 움직임이 없거나, 불확실한 상황이라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물론 이는 추측에 불과하나, 필자는 아직도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한 A7S3의 스펙에 관한 내용을 말하고 싶다. 소니답게 움직일 것이다. 이제 슬슬 기대치가 낮추어질때가 되어가고 있다.

  충격적인 한가지는, 아무리 그래도 미러리스 최초 8K라는 타이틀을 캐논이 가져갔다는 것이다. 4K혁신의 영광을 소니가 빼앗긴 것이다. 캐논이 시장 흐름에 맞게 빠르게 엔트리급 라인을 정리하고 하이엔드 류의 제품들을 주력으로 전환한 데에는 분명 통찰력이 있는 판단이었다. 그러나 아직 캐논을 다 믿지 못하는 사람도 있으나, 소니도 4K를 도입할 당시에 비슷한 반응이었다. 이제는 주도권이 캐논으로 넘어갈 때인가? 아니면 소니가 대의를 위해 칼날을 가는 중인 것일까?

  그러던 중, 소니의 새로운 카메라가 발표될 것을 예측하는 소문이 들려온다. 날짜는 2월 25일(화)로 확신하고 있다(https://www.sonyalpharumors.com/rumor-a-new-camera-is-coming-soon-is-it-the-fixed-lens-camera-or-is-there-more/). 날짜는 호언장담 하고 있으나, 아직 어떠한 타입의 카메라인지는 불확실하다. 

  종합해보자면 여전히 모든것에 반신반의다. 소니가 너무 성급했던 것일까? 이제는 소니보다 컨슈머가 성급해져버렸다. 그리고 소니는 그에 만족감을 주지 못하고 있다. 물론 베니스와 FX9는 훌륭하다. 하지만 소비자는 한단계 더 내려와 A7 시리즈에 베니스와 FX9에 대한 기술을 요구하고 있다. 





2020년 1월 30일 목요일

소니 a7s3, 이제는 놓아줄 때? 하지만 붙잡을 수 있는 희망...

내ㅜㅛ a7s2 이미지 검색결과"



  더 이상 a7s3에 관한 이야기는 하지 않으려 했으나 소니알파루머스(sonyalpharumors.com) 에 기재된 문구 하나가 나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그것은 "소니가 a7s3를 출시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이 나온다. 하지만 우리는 일명 '소니가이'를 통해 여러 번 확인했다." 라는 말이다.

  솔직히 신뢰가 많이 가지는 않는다만, 몇가지 생각해 볼만한 것은 현재 카메라 시장이 '잠잠하다' 라는 것이다. NAB와 올림픽 때문에 심혈을 기울이는 것일지는 몰라도 연초답지 않게 조용한 느낌을 받는다. 또 한가지는 소니가 CINEALTA 바디인 VENICE를 내놓았고 그 후 PXW-FX9을 내놓았다. 풀프레임 6K 바디의 연속이었다. 그렇다면 자연스레 우리는 그 다음 아랫 단계의 FE 마운트 바디를 생각하게 된다. 그것은 a7s3라고 마음 속에서 외칠 것이다. 그리고 그럭저럭 타이밍도 나쁘지만은 않다.

  루머에 따르면, 소니가 4K 60p와 4:2:2 10bit를 지원한다고 밝혔다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는 이전대비 증가된 용량의 배터리를 사용 할 것이고(아마 FZ100) AF가 향상된다는 것이다. 또한 4월 NAB에서 공개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또다른 정보로는 4k 120p와 냉각 팬, A9m2의 AF와 품질을 갖추었다는데 이건 터무니 없다. 흥.

  필자가 조심스레 한가지 또다른 가능성을 제기해 본다면, 다음과 같다.

  - 6K 30p 8bit 4:2:0 (150mbps) 및 4K 60p 8bit 4:2:0 (150mbps)
  - 경량화된 S-Cinetone Lite
  - FZ100 배터리
  - 확장 ISO 546,100 (기존 확장범위 대비 1/3 스톱 증가)

  나오면 알겠지 뭐.

(자료 출처 : https://www.sonyalpharumors.com/this-is-what-sony-said-about-the-future-a7siii-it-will-have-4k60p-and-10bit-422-and-exceed-expectations/ )

소니, 16-35mm T 3.1 Cine FE 렌즈 출시 임박...

소니 FE C 16-35mm T / 3.1 G E- 마운트 렌즈



  소니가 SELP 파워 줌 렌즈 라인업의 성공에 이어 Cine FE 16-35mm T3.1 렌즈를 출시할 예정이다. Cine FE 렌즈의 가장 큰 특징은 역시 기존의 F값 조리개 수치가 아닌 T값의 조리개 수치를 사용하는데에 있을 것이다. 영상용 줌 렌즈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T값을 통해 줌 워킹 동안에도 일관된 밝기 정도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16-35에서 끊을 소니가 아닌 만큼 표준 및 망원 대역의 Cine FE 렌즈 또한 충분히 기대해 볼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이전에도 충분히 예상되었고 소니가 흘려왔던 것임에도 우리가 열광하는 데에는 역시 PXW-FX9의 존재일 것이다. 시네마 카메라 못지 않는 FX9에는 이보다 더 어울리는 렌즈가 없을 것이다.


(자료 출처 : https://www.bhphotovideo.com/c/product/1506716-REG/sony_selc1635g_fe_c_16_35mm_t_3_1.html )

2020년 1월 16일 목요일

고해상도를 향한 캐논의 발걸음... 2020년의 EOS R은?

Canon EOS R Mark II 소문 – 가능한 사양 표면 세트

  캐논이 현재 풀프레임 미러리스 라인을 중심으로 계속된 개발과 출시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번 발표되었던 EOS Ra에 이어 EOS R mark ii 와 EOS Rs 에 대한 루머가 수면 위로 올라오기 시작했다. 그 무엇 하나 확실하게 발표된 것은 없으나, 기대해 볼만한 사실은 2020년에 캐논이 풀프레임 미러리스 바디 그 어떠한 것 하나는 내놓을 것이라는 예측이다.

  Canonwatch에서는 여름 전에 두개의 새로운 풀프레임 미러리스 바디를 발표할 것이라고 언급했고, 그 중 하나는 EOS Rs라고 불리는 고해상도 바디라고 추측하고 있다. 적어도 2월 이후에 발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직 그 윤곽이 선명하지는 않으나, 75MP를 중점으로 구성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1Dx Mark iii와 EOS R의 인터페이스, 듀얼슬롯을 지원한다는 이야기까지밖에 없다. IBIS에 대한 언급또한 있지만 아직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캐논의 어찌보면 답답해보일 수도 있는 정책은 현재 무척이나 안정적인 구도로 흘러가고 있다. 필자는 이러한 현상에 긍정적이다. 결국 승자는 캐논인걸까?


(자료 출처 : https://www.canonwatch.com/canon-eos-r-rumor-announcement-of-two-bodies-in-first-half-2020-gets-another-mention/)

2020년 1월 6일 월요일

캐논, 1Dx mark iii : DSLR 최초로 내부 5.5K RAW 비디오 녹화 탑재

Canon1DXMarkIII_07

  지난 포스팅에서 B&H에 게시된 정보를 분석한 바, RAW 비디오 내부 녹화에 대한 언급을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오늘 CINEMA 5D를 통해 1Dx mark iii 에서의 5.5K RAW 비디오 내부 녹화 사실을 확인했다.

  오늘 게시된 정보에 의하면, 다음 세가지 특별한 모드의 영상 녹화 기능을 지원한다고 한다.
  - 1080p 120fps
  - 4K DCI 60fps H.265/HEVC 코덱의 Clog 4:2:2 10bit (Clog 해제시 4:2:0 8bit H.264)
  - 5.5K 12bit RAW 60fps (2600Mbps)

  정말 놀라운 결과다. 더 이상 할 수 있는 감탄사가 없을 것이다. 또한, 추가적인 정보로는 5.5K RAW 녹화 시에는 크롭이 존재하지 않는다. 사실 이것은 RAW 촬영이므로 당연할 결과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4K 압축 녹화시 약간의 크롭이 존재한다. 이것은 리사이징이나 풀 픽셀 리드아웃과 같은 기능을 사용하지 않은 다운샘플링을 통해 기록된다고 한다. 또한 5.5K RAW 녹화에서 볼 수 있듯, 1Dx mark iii 는 20.1MP의 CMOS 센서를 사용한다.

  이것들을 종합해 봤을때, 이번 1Dx mark iii 는 어떤 포지션을 막론하고 만족스러운 결과물을 낳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언급된 바디 가격으로는 6,500$. 5.5K 내부 RAW 비디오라는 결과를 보니 비싸다는 생각이 쏙 들어가고야 말았다. 요즘 형편이 힘들다는 니콘에서는 외부 RAW 비디오 출력을 함에도 여기저기서 결과물에 대한 불만이 나오고 있으나, 우리는 이전 1Dx mark ii 에서 보여주었던 퍼포먼스를 기억한다. 캐논이 드디어 아니, 다시한번 일을 저질렀다.

  또한 내장된 USB-C와 HDMI 출력 및 더욱 다양하고 자세한 정보는 아래 CINEMA 5D의 원문을 참조하기 바란다.

(자료 출처 : https://www.cinema5d.com/canon-eos1dx-mark-iii-announced-54k-raw-video-internally/)